목록분류 전체보기 (137)
코딩 이야기
if문 및 else문 그리고 elif문 설명을 위한 예제 #if문 a = 23 if a < 50: #if문을 선언합니다. print('50보다 작군요') #if문에 조건이 맞으면 출력 #if else문 if a < 20: print('20보다 작군요') else: print('20보다 크군요') #elif문 age = int(input('현재 나이를 입력하세요. '))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정수로 리턴 if age < 10: print('유년층 입니다.') elif age < 20: print('10대입니다.') elif age < 30: print('20대입니다.') elif age < 40: print('30대입니다.') else: print('장년층입니다') for문 for문을 다양한 형태로 저장..
함수 선언하기 기본적인 함수를 선언하고 간단하게 함수를 호출하는 예제입니다. def mydef01(): #인수 없는 함수 선언 print("함수를 선언합니다.") # 들여쓰기를 통해 함수 구현 부분 mydef01() #함수를 호출 def mydef02(str="인수함수를 선언합니다."): #인수 있는 함수 선언 print(str) #인수로 받은 변수를 출력 mydef02() mydef02("인수를 넣습니다.") 함수 인수 사용하기 여러 개의 인수를 입력받아서 계산을 하는 함수를 선언하는 예제입니다. def mydef01(): i = 10 j = 20 print(i+j) mydef01() def mydef02(i, j): print(i+j) mydef02(10, 20) # 계산할 숫자를 두 개 입력하세요...
파이썬은 다른 언어들과 다르게 중괄호를 사용하여 블록을 구분하지 않고 들여쓰기를 통해 블록을 구분하는 독특한 문법을 채용하는 언어이다. 들여쓰기 예제 def factorial(x): if x == 0: return 1 else: return x + factorial(x -1) 파이썬의 주석 01 : # 1. 한줄 주석 : # (프로그램을 코딩 중 제일 중요한 단어나 급하게 필요할 때 한줄 주석으로 '#'을 사용해줍니다. 02 : # 2. 여러줄 주석 : '''(홀 따옴표 3개를 사용), """(쌍 따옴표 3개를 사용) 주석을 닫아줄 때도 홑, 쌍 따옴표 3개를 이용해 닫아주면 됩니다. 03 : ''' 04 : 여러줄 주석1 05 : ''' 06 : """ 07 : 여러줄 주석2 08 : """ 09 : ..

예외 클래스 예외란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를 말합니다. 예외가 발생되면 프로그램은 곧바로 종료된다는 점에서는 에러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예외는 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정상 실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자바는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코드를 컴파일 할 때 예외 처리 유무를 확인합니다. 만약 예외 처리 코드가 없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예외에 대해서 예외 처리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예외의 종류부터 알아야 합니다. 예외와 예외 클래스 예외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일반 예외이고, 다른 하나는 실행 예외입니다. 일반 예외는 컴파일러 체크 예외라고도 하는데,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