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37)
코딩 이야기

[데이터베이스 이해하기] Database(DB), DBMS, SQL의 개념 데이터베이스는 IT 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우리의 삶이 데이터베이스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데이터베이스가 대체 무엇이길래 여기저기 모든 것에 연관되어 있고 비전공자까지 관심을 가지는지 데이터베이스의 개념과 SQL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줄 요약 KeyPoint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란? : 데이터의 저장소.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란?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계층형, 망형, 관계형 DBMS 중 대부분의 DBMS가 테이블로 구성된 관계형 DB..

공공데이터 포털을 활용하여 온습도 센서 없이 날씨를 확인해보자 가입 후 기상청 예보 서비스 신청 후 요청 변수에 정보를 입력하여 xml과 json타입으로 불러와 보았다. http://jsonpareronilne.com/ 에서 json타입을 보기 편하게 만들어 보았다. 실행 코드 import requests from urllib.parse import unquote url = '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_2.0/getUltraSrtNcst' params ={'serviceKey' : unquote('gkadRXwu%2FPLe%2FwRXNA3RBxsWTkNYvPbppuUyOKKGriGXD7fVVZeyK8Jl3mUvSK1dklFORGQ4Qgz..
cron (크론) 개념잡기 cron은 주기적인 실행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자정에 데이터를 백업하고 싶다거나 아침 7시가 되면 led를 작동시키고 싶다면 cron을 사용하면 됩니다. 등록된 크론확인 $ crontab -l no crontab for pi 크론 실습파일 # -*- encoding: utf-8 -*- import RPi.GPIO as GPIO import time GPIO.cleanup() #한글 LED = 8 GPIO.setmode(GPIO.BOARD) GPIO.setup(LED, GPIO.OUT, initial=GPIO.LOW) try: num = 0 while(True): time.sleep(1) GPIO.output(LED, GPIO.HIGH) time.sleep(1..

IP 개념 잡기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데 필요한 프로토콜(규약)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되고 받은 쪽에서는 분할된 패킷을 조립하게 됩니다. 데이터가 패킷으로 분할되고 분활된 패킷이 송신될 때 순서가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받는 쪽에서 받은 패킷을 조립해 줘야합니다. 이런 규약들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데이터를 한번에 보내는 서킷 스위칭 방식(회선교환 방식)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패킷 스위칭 방식을 씁니다.